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Raspberry Pi Imager로 Raspberry Pi OS 설치

카테고리 없음

by sedong 2025. 2. 26. 22:25

본문

라즈베리 파이를 이용하여 간단하게 쿠버네티스 환경을 구축해보려고 합니다.

라즈베리 파이에 os를 설치해서 쿠버네티스 환경을 구축하기 위한 기초 작업을 진행합니다.

 

먼저 구축하기 전 준비한 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 Raspberry PI 4 Model B
  • 마이크로 SD 카드 32GB
  • 마이크로 SD 리더기

 

Raspberry Pi Imager는 라즈베리 파이에서 사용할 수 있는 경량 OS 인 Raspberry Pi OS를 쉽고 빠르게 설치해 주는 프로그램입니다.

 

Raspberry Pi Imager로 Raspberry Pi OS 설치

라즈베리 파이 홈페이지로 가셔서 로컬 컴퓨터의 OS에 맞는 프로그램을 다운해 줍니다. 

 

라즈베리 파이 홈페이지에서 라즈베리 파이 이미지어를 받을 수 있습니다.

 

 

저는 맥북을 사용하고 있어서 macOS 용 프로그램 설치 버튼이 노출됩니다.

 

마이크로 SD 리더기에 마이크로 SD 카드를 삽입하고 로컬 노트북이 인식할 수 있도록 장치를 삽입해 줍니다.

(저는 다이소에서 산 SanDisk 32GB 5000원짜리 마이크로 SD를 사용했습니다.)

 

맥북에 마이크로 SD 가 인식되었습니다.

 

윈도나 우분투 계열은 보이는 방식이 다를 수 있습니다. 파일 탐색기나 파일 시스템을 열고 인식된 외부 저장소를 확인해 보시면 됩니다.

 

Raspberry Pi Imager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면 다음과 같은 화면이 나옵니다.

 

라즈베리 파이 이미지어를 맥북에서 실행한 화면

 

 

 

크게 선택할 수 있는 항목이 3가지가 존재합니다.

 

장치 선택

장치 선택에서는 라즈베리 파이 디바이스를 선택하시면 됩니다.

저는 라즈베리 파이 4 Model B를 준비해서 설치할 계획이기 때문에 Raspberry Pi 4를 선택했습니다.

 

 

 

운영체제

 

 

Raspberry Pi OS는 라즈베리 파이에서 공식적으로 지원하는 라즈베리 파이용 경량 OS입니다.
Debian 계열의 Bookworm 기반의 OS로 여러 운영체제 이미지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Raspberry Pi OS (other)을 누르면 다른 버전의 OS 도 확인해 볼 수 있습니다.

  • Full : GUI를 지원하며 다양한 패키지가 설치되어 있습니다.
  • Lite : CUI 환경에서 아주 기본적인 패키지만 설치되어 있습니다.

사용자의 사용 사례에 맞는 OS를 선택하면 되고 저는 Recommended 하는 첫 번째 OS를 선택했습니다.

 

 

저장소

 

저장소는 사용자가 원하는 마이크로 SD 카드로 선택하시면 됩니다.

다만 저장소 선택에서는 반드시 장치가 인식되어야지 목록이 나옵니다.

실제 설치는 32 기가를 사용했지만 예제에서는 16기가로 진행했습니다.

 

 


 

Raspberry Pi Imager 추가 설정

라즈베리 파이에 설치할 운영체제 구성을 실행하기 전 다양한 설정을 할 수 있다.

 

일반탭

 

일반탭에선 여러 가지 항목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 hostname: 네트워크에 접속된 장치의 이름을 설정합니다. 동일 네트워크상에서 아이피가 아닌 호스트 이름으로 장치를 식별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원하는 값으로 변경해 주시면 됩니다.
  • username / passwd : 리눅스 환경에 새로운 유저를 만들고 비밀번호를 설정합니다. 여기서 설정한 유저명과 비밀번호를 사용해 ssh 연결을 할 수 있습니다.
  • 무선 LAN 설정 : 기존에 wpa_supplicat.conf 파일을 생성해서 네트워크 정보를 추가하는 부분을 간소화해서 무선 네트워크 설정을 도와준다. 무선랜 국가는 KR (대한민국)으로 설정했으며 필요한 경우 와이파이 장치를 확인 후 설정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 locale : 시간대와 키보드 레이아웃 설정하면 됩니다. Asia/Seoul, kr로 선택했으며 원하는 시간대나 키보드 레이아웃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서비스 탭

 

ssh 사용 체크박스를 선택하고 비밀번호 인증 사용을 선택합니다. 앞서 설정한 유저명과 비밀번호를 통해 로그인을 할 수 있습니다. 

 

 

저장 버튼을 누르고 OS 커스터마이징 버튼에서 '예'를 눌러서 OS 이미지를 마이크로 SD에 쓰는 작업을 수행합니다.

 

 

 

약 10분 정도의 시간이 걸립니다. 여유롭게 차 한잔 마시면 SD 카드를 제거할 수 있다는 메시지 팝업이 뜨며 확인을 누르고 SD 카드 리더기를 제거하고 마이크로 SD를 라즈베리 파이에 연결 후 라즈베리 파이에 C 타입 전원을 연결하여 기동시 켜줍니다.

 

 

 


 

ssh 연결하기

라즈베리 파이에 마이크로 SD 카드를 삽입하고 전원을 인가해서 기동 하면 초록불이 깜빡깜빡하는 걸 볼 수 있습니다.

이는 저장된 이미지를 기반으로 OS를 사용자가 설정한 구성에 맞게 실행하는 과정입니다.

 

그리고 약 3분 정도의 시간이 지나면 공유기 애플리케이션에서 다음과 같이 라즈베리 파이가 클라이언트로 연결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앞서 설정한 hostname, username, passwd를 이용해서 로컬 컴퓨터에서 라즈베리 파이로 ssh 연결을 할 수 있습니다.

 

ssh <username>@<hostname>

 

 

만약 username을 hello라고 설정했고, hostname을 rasp라고 설정했다면 다음과 같이 입력할 수 있습니다.

 

ssh hello@rasp.local

 

이후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과정이 진행됩니다. 비밀번호를 타이핑하는 건 터미널에서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정확하게 입력해 주시면 됩니다.

비밀번호를 올바르게 입력한다면 라즈베리 파이의 터미널에 접속할 수 있습니다.

 

 

로컬 컴퓨터에서 라즈베리 파이에 ssh를 통해 접속하였습니다.

 


홈랩을 구축해야겠다 생각하면서 어디서부터 해야 되는지 잘 감이 오지 않아 회사 동료에게 도움을 구했는데 그때 동료가 라즈베리 파이를 추천해 주었습니다.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고 빠르게 테스트해 볼 수 있는 장점이 있다고 했는데 경험이 전혀 없는 저도 실제로 해보니 20분 정도면 구성이 가능했습니다.

 

특히 Raspberry Pi Imager라는 프로그램을 사용해서 손쉽게 구성이 가능한 점이 너무 간편하다고 생각했습니다.

 

k3s를 깔아보기도 하고, 정적 파일 서버를 띄워보기도 하고, 로컬 테스트 서버 호스팅 해보는 등 다양한 실험을 할 수 있는 환경이 생긴 것 같습니다.